영화 <히든피겨스>는 1960년대 미국의 우주 개발 경쟁 속에서 NASA에서 일한 흑인 여성 수학자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영화는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맞서 실력과 열정으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은 세 명의 주인공들의 삶과 업적을 그려냅니다. 영화는 2017년 3월 23일에 개봉했으며, 데오도르 멜피 감독이 연출하고, 타라지 P. 헨슨, 옥타비아 스펜서, 자넬 모네 등이 출연했습니다.
1.영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1년, 미국은 러시아와의 우주 개발 경쟁에 밀리고 있었습니다. NASA는 머큐리 프로젝트를 통해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을 성공시키려고 했지만, 복잡한 계산과 정밀한 분석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던 중, 흑인 여성 수학자 캐서린 존슨이 특종팀 스포트라이트에 편입되어 기회를 얻게 됩니다. 캐서린은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직면하면서도, 자신의 뛰어난 두뇌로 우주 비행의 핵심 공식을 발견하고, 우주 비행사 존 글렌의 안전한 귀환을 도와줍니다. 캐서린과 함께 일한 도로시 본과 메리 잭슨도 각각 NASA의 최초 흑인 여성 감독과 엔지니어가 되어 역사를 썼습니다.
영화 <히든피겨스>는 인종차별과 성차별의 현실과 극복 방법을 보여줍니다.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흑인과 여성이라는 이중의 소수자로서, 흰색 남성들이 지배하는 NASA에서 차별과 무시를 겪습니다. 캐서린은 흑인 전용 화장실과 커피포트를 사용해야 하고, 도로시는 감독 자격을 인정받지 못하고, 메리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흰색 학교에 다녀야 합니다. 하지만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실력과 열정으로 이러한 장애물을 하나씩 극복해 나갑니다. 캐서린은 오일러 공식을 응용하여 우주 비행의 핵심 공식을 발견하고, 도로시는 IBM 컴퓨터의 작동 방법을 스스로 배워서 감독 자격을 얻고, 메리는 법원에서 흰색 학교에 다닐 수 있는 허가를 받습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굴하지 않고, 자신들의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통해,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전달합니다.
2. 영화 <히든피겨스>의 주인공들이 사용한 수학 공식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캐서린은 우주 비행의 궤도를 계산하기 위해 오일러 공식을 사용합니다. 오일러 공식은 복소수의 지수를 정의하는 공식으로, 삼각함수와 지수함수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캐서린은 이 공식을 통해 우주선이 지구 궤도를 돌고 지구 상의 어느 지점에 떨어질지 알아내고, 우주 비행사의 안전한 착륙을 도와줍니다. 오일러 공식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무리수인 자연상수 e의 지수에 허수 i, 무리수 π의 곱이 자리 잡고 있고, 이렇게 구성된 수가 자연수인 1과 합쳐져 무의 상태인 0으로 돌아간다고 해서, 수학의 균형과 조화를 보여준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캐서린은 이러한 아름다운 수식을 우주 비행의 문제에 적용하여, 인류의 우주 탐사에 기여했습니다.
3. 영화 <히든피겨스>의 제작 배경과 역사적 맥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는 마고 리 셰털리의 실화 에세이를 원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셰털리는 NASA의 역사에 대해 연구하던 중, 흑인 여성 수학자들의 존재와 업적을 알게 되었고, 그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썼습니다. 영화는 책을 바탕으로 하되, 일부 사실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 캐서린은 존 글렌의 우주 비행 전에 궤도를 다시 계산하라는 요청을 받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또한, 영화에서는 주인공들이 동시에 일했던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캐서린은 1953년에, 도로시는 1943년에, 메리는 1958년에 NASA에 입사했습니다. 영화는 1960년대 미국의 사회적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당시 미국은 러시아와의 우주 개발 경쟁에 밀리고 있었고,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만연하고 있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주인공들의 삶과 업적이 얼마나 힘들고 대단한 것인지를 보여줍니다.
4.영화 <히든피겨스>의 주인공들이 보여준 여성의 역할과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남성 중심의 과학 분야에서 여성으로서의 자리를 확보하고, 자신들의 능력을 인정받습니다. 캐서린은 우주 비행의 궤도를 계산하기 위해 오일러 공식을 사용합니다. 오일러 공식은 복소수의 지수를 정의하는 공식으로, 삼각함수와 지수함수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캐서린은 이 공식을 통해 우주선이 지구 궤도를 돌고 지구 상의 어느 지점에 떨어질지 알아내고, 우주 비행사의 안전한 착륙을 도와줍니다. 오일러 공식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식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무리수인 자연상수 e의 지수에 허수 i, 무리수 π의 곱이 자리 잡고 있고, 이렇게 구성된 수가 자연수인 1과 합쳐져 무의 상태인 0으로 돌아간다고 해서, 수학의 균형과 조화를 보여준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캐서린은 이러한 아름다운 수식을 우주 비행의 문제에 적용하여, 인류의 우주 탐사에 기여했습니다.
도로시는 IBM 컴퓨터의 작동 방법을 스스로 배워서 감독 자격을 얻습니다. 당시 컴퓨터는 계산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아직 완벽하지 않았습니다. 도로시는 컴퓨터의 오류를 수정하고,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히고, 다른 여성들에게도 가르쳐줍니다. 도로시는 컴퓨터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기술의 발전에 적응하고, 리더십을 발휘했습니다.
메리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흰색 학교에 다녀야 합니다. 당시 흑인은 흰색 학교에 다닐 수 없었기 때문에, 메리는 법원에서 허가를 받아야 했습니다. 메리는 자신의 꿈을 위해 법적인 싸움을 벌이고, 학업에 전념하고, 엔지니어 자격을 취득합니다. 메리는 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과학의 세계에 도전했습니다.
5.영화 <히든피겨스>의 시각적 요소와 음악적 요소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는 1960년대 미국의 사회적 상황을 잘 반영하는 시각적 요소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흑인과 흰색이 구분되는 화장실과 커피포트, 흑인 여성들이 입는 단정한 의상과 흰색 남성들이 입는 정장, 흑인들이 사는 가난한 동네와 흰색들이 사는 부유한 동네 등은 인종차별과 계층차별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또한, 우주선과 로켓, IBM 컴퓨터와 계산기, 슬라이드와 흑백 TV 등은 당시의 과학 기술의 수준과 발전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1960년대의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여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의 시작과 끝에 나오는 팝송 'Runnin''은 주인공들이 삶의 장애물을 뛰어넘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상징합니다. 또한, 영화의 중간에 나오는 고스펠 'I See a Victory'는 주인공들이 자신들의 신념과 열정을 표현하는 노래입니다. 영화의 음악은 주인공들의 감정과 상황에 맞게 변화하며, 영화의 몰입도를 높여줍니다.
6. 영화 <히든피겨스>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가치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화는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맞서 실력과 열정으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은 세 명의 주인공들의 삶과 업적을 통해, 우리에게 용기와 희망을 전달합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굴하지 않고, 자신들의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또한, 과학과 수학의 중요성과 재미를 보여줍니다. 영화는 주인공들이 과학과 수학을 통해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고, 인류의 역사를 바꾸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과학과 수학이 인종과 성별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언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문화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리언 달러 베이비 영화 소개 (0) | 2023.12.30 |
---|---|
타이타닉 25주년 재개봄 , 감상 및 분석 (0) | 2023.12.30 |
스포트라이트, 진실을 밝히기 위한 기자들의 끈질긴 추적 (1) | 2023.12.29 |
영화 라라랜드 줄거리, 감독, 음악 , 네개의 계절과 만남, 이별 (0) | 2023.12.29 |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리뷰 및 소개 (0) | 2023.12.29 |